총학점계산기 사용하기
우리가 대학교에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열심히 나의 전공 학과 공부를 하다 보면 항상 중간 기말고사가 있기 마련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공부하는 이유는 경쟁은 어쩔수 없는것 같아요
나혼자 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니까요 서로 같이 공부를 하다 보면 뭔가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수 있기도 합니다. 공부는 자신과의 싸움인것 같아요
아무리 하기 싫어도 책상에 앉아서 공부를 하다 보면 뭔가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 재미도 있기도 합니다. 대학교는 각 과목별로 학점을 계산할수가 있어요
a학점부터 해서 c학점 점점 떨어지기도 하는데요 학점이 높아야 아무래도 내가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겠죠 기업입장에서는 똑같은 지원자라 하더라도 학점에 따라서 차별을 두기 마련입니다.
이왕이면 공부 잘하는 학생이 조금더 성실하면서 회사의 이윤을 더욱 극대화 시킨다고 할수 있겟죠 그래서 플러스 가산점을 얻고 취업을 할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내가 현재 대학교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면 내가 a+ 나 아니면 b c 점수를 각 과목마다 받았다고 하면 결과적으로 내 총학점이 궁금해요
보통 4.5점 만점인지 아니면 4.0 만점인지에 따라서 전체 총 학점이 달라지니까요 평균적으로 b 학점 이상은 받아야 나중에 회사에 취업할때 좀 유리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과목별로 총학점이 어느정도인지 계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네이버에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자신의 학점 계산을 위해서 학교별로 약간씩 과목이 틀리니까요 4.5점 만점 기준으로 해서 샘플로 각 과목 이름과 점수를 입력을 합니다.
과목은 임시로 아무거나 지정을 하고요 a+ 부터 해서 a c 등 점수를 입력해 볼께요 그리고 각각 이수학점을 차례대로 입력을 합니다. 그리고 총 계산을 누르면 총 평점이 나오네요 4.5 만점에 이번학기 3.72점을 받았다고 하면 됩니다.
물론 나중에 대학교 성적이 나오긴 하지만 내가 중간 기말고사 다 보고나서 임시로 한번 계산해 보는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